본문 바로가기

검색의 기억

신경 아교 세포

반응형

뉴런이라고 들어본 적 있는가?

아교세포라고 들어본적이 있는가?


뉴런은 잘 알려져있으나 머릿속에 뉴런의 10배 가량 있지만 상대적으로 잘 안 알려진 것이 바로 신경 아교 세포(glia)이다

이에 대해서 좀 알아보자


이는 뇌나 신경계에 있는 비-뉴런 세포를 의미하며 여러가지 종류가 존재한다.


특징

뉴런은 action potential을 만들어내면서 활성화하지만 아교세포는 그렇지 못한다는 차이가 있다.

뉴런은 입력이 어느 이상들어오면 활성화되어 전기신호를 내보내지만 아교는 그런 일을 못한다.

주로 뉴런의 활동을 돕은 가정부 같은 역할과 시냅스를 만드는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종류


1. 소교세포(micro-glia) - 작은 아교세포

면역 기능을 주로하여 부상과 질병으로부터 뉴런을 보호한다.

또한 이상동작을 할 경우 알츠하이머 병과 관련이 있다.

뇌는 유아기때 지나치게 많은 시냅스를 생성하고 이를 가지치기 하는데 이런 가지치기에 큰 도움을 줌



2.대교세포(macro-glia) -큰 아교세포

1)성상세포(Astrocytes)

뉴런들이 잘 활동할 수 있게 이런 저런 환경을 조성을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시냅스의 신경전달물질 조절, 칼륨이온 조절, 이런 저런 대사 도움을 준다.

또한 뉴런간의 통신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2)희돌기교세포(Oligodendrocytes)

뉴런에는 축삭이라고 불리는 긴 전선이 있다. 이 긴 전선에는 미엘린이라는 피복이 있어 효과적으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런 미엘린을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3)Ependymal cells

뇌척수액을 만드는데 도움을 준다.


4)Radial glia

일종의 선조세포로 뉴런, 성상세포, 희돌기교세포를 만들 수 있다.


5) 슈반세포

희돌기교세포 처럼 뉴런을 수초화하는데 도움을 준다.


6)Enteric glial cells

소화계에서 발견된 신경세포


7) Satellite cells

신경 뉴런 근처에 존재하는 세포


https://qbi.uq.edu.au/brain-basics/brain/brain-physiology/types-glia

반응형